'침착맨' 이말년, 53억 빌딩 사들이더니 결국…위기의 MCN

입력 2024-04-01 15:46   수정 2024-04-01 16:52


웹툰 작가 이말년이 크리에이터 침착맨으로 활동하면서 파트너 관계를 맺어왔던 샌드박스 네트워크와 5년 만에 결별했다. 앞서 임영웅과 감스트가 최대 MCN 기업으로 꼽히는 CJ ENM의 다이아TV를 떠난데 이어 침착맨까지 홀로서기를 선언하며 국내 MCN 위기론이 부각되고 있다.

침착맨이 새롭게 설립한 개인 회사 금병영 측은 1일 "샌드박스 네트워크와 계약 종료 후 새로운 출발에 나선다"며 "금병영은 침착맨 관련 콘텐츠 제작과 IP협업 및 출연·섭외 등을 전문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금병영은 침착맨이 설립한 1인 회사다. 배우자와 자녀 등 가족 이름에서 하나씩 따와 사명을 지었다. 유튜브 채널 '침착맨' 운영을 주업으로 하면서 2022년 기준 총 49억6000만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세후 당기순이익은 29억1000만원이다.

웹툰 작가로 먼저 알려진 침착맨은 센스 넘치는 입담과 게임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며 스트리밍 방송에서도 거물로 성장했다. 지난 연말 트위치가 한국 시장 철수를 결정하자 침착맨은 네이버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을 비롯해 아프리카TV, 유튜브 등 동시 송출을 선언하면서 큰 관심을 받았고, 치지직에서는 진출하자마자 22만 명 이상의 팔로어를 끌어들였다.

나영석 PD도 유튜브 채널 '십오야'를 운영하면서 침착맨에게 라이브 방송 진행 방식과 소통법을 직접 배울 정도였다.

침착맨의 홀로서기가 예견된 일이었다는 반응도 나왔다. 침착맨은 이달 초 금병영 명의로 서울 송파구 방이동 소재의 한 건물을 지난해 4월 53억5000만원에 매입한 사실이 알려졌다. 건물은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 총 4개 층으로 구성된 다세대 주택이며, 대지 면적은 281.4㎡(85평)이고 건축물 전체 면적은 642.84㎡(194평)이다. 이를 두고 침착맨이 사옥으로 사용하기 위해 건물을 매입한 게 아니냐는 추측이 흘러나왔다.

금병영 측은 침착맨이 오는 5월부터 해당 건물에 마련된 새 스튜디오에서 방송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그동안은 서울 강동구 고덕동의 한 아파트 상가 한쪽에서 콘텐츠를 촬영했다.

이말년이 몸담았던 샌드박스는 대표적인 MCN 기업 중 하나다. MCN은 유명 유튜버 등 크리에이터들의 제작, 저작권 관리, 홍보 등을 지원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일종의 크리에이터 전문 매니지먼트사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인플루언서 마케팅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30% 이상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골드만삭스는 2027년 글로벌 크리에이터 시장 규모가 4800억달러(630조원)까지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하기도 했지만, 최근 업계에서는 'MCN 기업은 불황'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샌드박스의 경우 2017년 이후 지난해 3분기까지 적자를 이어왔고, 구조조정을 통해 신사업 정리와 조직 슬림화 과정을 통해 6년 만에 분기 흑자를 기록할 수 있었다. 인기 크리에이터의 경우 수익 분배 계약이 그들에게 유리하게 돼 있어 MCN이 가져갈 수 있는 돈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밖에 없기 때문.

샌드박스뿐 아니라 국내 최대 MCN 기업으로 꼽히는 다이아TV 역시 MCN 산업 성장을 주도하며 2020년대 초반 소속 크리에이터 수가 1400여명에 달할 정도였다. 하지만 크리에이터 영입과 콘텐츠 제작·관리 등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지만, 막상 벌어들이는 돈은 신통치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와 함께 크리에이터 수도 꾸준히 줄어들면서 업계에서는 현재 다이아TV 소속 크리에이터 수를 650여명 수준으로 파악하고 있다.

다이아TV를 떠난 인기 크리에이터 중엔 259만 유튜버 구독자 수를 자랑하는 감스트, 159만명의 가수 임영웅 등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대도서관, 허팝, 입짧은햇님, 닥터프렌즈 등은 다이아TV에 남아 있다.

과거 MCN 사업을 운영했던 한 매니지먼트 관계자는 "이름이 알려진 크리에이터들과 협업으로 돈을 벌기 어려운 구조"라며 "음반이나 영화, 드라마 등의 콘텐츠의 경우 저작권을 공유할 수 있지만, 유명 크리에이터들의 경우 스튜디오 제공이나 편집 등 제작을 지원해도 해당 콘텐츠나 라이브 스트리밍 방송 등에 대한 권한을 요구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수익성을 높이기 힘들었다"고 털어 놓았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대부분의 대형 크리에이터들은 별도의 개인 법인도 갖고 있다"며 "MCN에 소속돼 운영 노하우를 배우고, 개인 회사를 보완해 이동하는 흐름도 이어지고 있다"고 귀띔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